SQL-D
-
2과목 - 1장. SQL기본SQL-D 2023. 3. 24. 14:12
DDL 1) 테이블 생성 - 테이블 생성: CREATE TABLE - 테이블 변경: ALTER TABLE - 테이블 삭제: DROP TABLE - 테이블 구조 확인: DESC(Describe) ORDER BY NAME DESC(=Descending, 내림차순)과 혼동하지 말 것 2) 제약 조건 사용 - 기본키, 외래키, 기본값(default, 아무 값도 입력되지 않았을 때 기본으로 들어가는 값), not null 등 - 테이블 생성 시 지정 가능 ex) sal number(10,2) default 0, -> 연봉은 최대 10자리, 소수점은 둘째자리까지 저장, 기본값은 0 createdate date default sysdate, -> 기본값을 sysdate(오늘 날짜 시분초)로 지정 constraint ..
-
1과목 - 2장. 데이터 모델과 성능SQL-D 2023. 3. 13. 18:16
성능 데이터 모델링 : DB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설계 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, 반정규화, 테이블 통합, 테이블 분할, 조인 구조, PK, FK 등 여러 가지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 * 분석/설계 단계에서 데이터 모델에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할 경우 성능 저하에 따른 재업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. 데이터의 증가가 빠를수록 성능 저하에 따른 성능 개선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성능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순서 1.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 2. DB 용량산정 수행 3. DB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 파악 4.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 수행 5. 이력 모델의 조정, PK/FK 조정, 슈퍼/서브타입 조..
-
1장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SQL-D 2023. 3. 9. 10:48
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및 유의점 - 데이터 모델링: 고객의 업무 프로세스 추상화 + 소프트웨어 분석, 설계 - 중복: 같은 시간 같은 데이터 제공 - 비유연성: 사소한 업무 변화에 데이터 모델이 수시로 변경되면 안 됨, 데이터 정의를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 - 비일관성: 데이터 간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해 명확히 정의해야 함 데이터 모델링 1) 개념적 -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-> 데이터모델 결정 - 엔터티, 속성 도출 -> 개념적 ERD 작성 2) 논리적 - 식별자 도출, 관계 정의, 특정 DB 모델에 종속 - 정규화(중복 데이터X) -> 독립성 확보, 무결성 유지, 용량 절약, 재사용성 높임 3) 물리적 - DB 실제 구축 - 테이블, 인덱스, 함수 등 생성(성능, 보안, 가용성 고려) 데이터 독립성..